【버전 6.x】 네트워크 어댑터 설정
- 유틸리티/버추얼박스
- 2023. 10. 5. 19:31
VM(Virtual Machine)을 사용하다 보면 네트워크 어댑터의 설정이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 대부분 임베디드 시스템 개발이나 호스트와 가상 머신과의 통신 등의 이유로 네트워크를 설정해줘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네트워크 설정 시 크게 보면 NAT와 Bridge 방식이 있습니다.
-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는 네트워크 주소를 변환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네트워크 주소는 IP를 의미합니다. VM을 사용하면 VM 자체 NAT 라우터가 내장되어 있어 사설 IP를 할당받아 호스트와 연결됩니다. 호스트는 공인 IP를 통해서 인터넷과 연결되죠. 즉, NAT는 공인 IP를 사설 IP로 변환하고 연결해 주는 것을 말합니다. 반대로 사설 IP를 공인 IP로 변환하고 연결해 주는 것이기도 하죠. 일반적으로 인터넷 연결은 KT, SKT 등의 ISP(Internet Service Provider: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를 통해서 공인 IP를 할당받습니다. 물리적으로 호스트는 네트워크 장치를 통해서 IP를 할당받아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죠. 가상 머신은 호스트에서 받은 공인 IP를 NAT를 통해서 사설 IP를 할당받고 호스트의 공인 IP와 연결되어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Bridge 방식은 여러 개의 네트워크가 마치 하나의 네트워크처럼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물리적인 네트워크 장치를 공유해서 사용하는 거죠. 그렇기 때문에 호스트를 통해서 인터넷에 연결되는 방식이 아닌 직접 네트워크 장치와 연결됩니다.
그럼 VirtualBox에서 네트워크 설정을 해 보도록 하죠.
위의 화면에서 설정을 클릭합니다.
그림과 같이 왼쪽의 메뉴 중에 "네트워크"가 있습니다. 선택을 하면 오른쪽에 연결된 어댑터들이 보입니다. 기본적으로 NAT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Bridge로 설정하기 위해서 다음에 연결됨을 "어댑터 브리지"를 선택하고, 다음을 물리 네트워크 장치를 선택해 주시면 됩니다.
'유틸리티 > 버추얼박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버전 6.x】 Ubuntu 설치 시 커널 패닉 해결 방법 (0) | 2023.10.13 |
---|---|
【버전 6.x】 Ubuntu 20.04 Guest Additions 설치 (0) | 2023.10.05 |
【버전 6.x】 가상 하드디스크 파일 종류 (0) | 2023.10.05 |
【버전 6.x】 호스트 키 변경하기 (0) | 2023.09.27 |
【버전 6.x】 스냅숏 기능 사용하기 (0) | 2023.09.27 |
이 글을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