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xygen 기본 사용 방법(윈도우 버전)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프로그램 화면을 볼 수 있다.

 

 

화면에서 Doxygen의 코드 분석 결과를 저장할 폴더를 설정한다.

 

 

다음으로 분석할 코드 및 결과를 저장할 디렉터리를 설정해야 한다. 아래와 같이 설정해 준다.

 

 

  • 1번의 경우, 분석할 코드 경로를 설정한다. Scan recursively 체크 박스를 선택하여 하위 폴더에 대한 모든 코드를 분석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
  • 2번의 경우, 분석된 결과를 저장할 경로로, 위의 분석 결과 저장 위치와 동일하게 설정하면 된다.

 

Next 버튼을 클릭하여 Mode를 설정한다.

 

 

언어는 분석하고자 하는 소스코드에 맞게 설정하면 된다. Next 버튼을 클릭하여 Output를 설정한다.

 

 

Next 버튼을 클릭하여 Diagrams를 설정한다.

 

 

Next 버튼을 클릭하여 Run 탭 설정화면으로 이동한다. Graphviz를 사용하기 위해서 Expert 탭을 선택한다. Project 토픽에서 OUTPUT_LANGUAGE를 Korean으로 설정한다.

 

 

기본 설정인 영어로 사용해도 된다. Build 토픽에서 아래와 같이 Private과 static 멤버가 문서화에 포함될 수 있도록 설정한다(옵션이며, 추가하지 않아도 됨).

 

 

Source Browser에서 함수 설명 시 코드를 포함시킨다(옵션이며, 추가하지 않아도 됨).

 

 

중요한 Graphviz 설정을 위해서 Dot 토픽을 선택하고 아래와 같이 설정한다.

 

 

UML은 옵션이며, 설정을 해도 되고 하지 않아도 된다. DOT_PATH는 무조건 설정해줘야 한다. Graphviz가 설치된 경로를 선택해 주면 된다. 이제 분석 파일을 만들기 위해서 Run 탭으로 이동하여, “Run doxygen” 버튼을 클릭하면 된다.

 

 

위의 Run 탭 화면에서 “Run doxygen” 버튼을 클릭하여 코드 분석이 완료되면, “Show HTML output” 버튼이 활성화된다.

 

 

Show HTML output” 버튼을 클릭하여 웹 브라우저에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림과 같이 소스 코드의 클래스 및 상속관계, 그리고 다이어그램을 통한 호출 관계 등을 알 수 있다.

'프로그래밍 > 독시젠'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xygen 설치하기(윈도우 버전)  (0) 2023.10.07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