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 LTS】 SAMBA 설치
- 플랫폼/우분투
- 2023. 10. 7. 00:03
삼바(SAMBA)는 Windows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PC에서 Linux 또는 UNIX 서버에 접속하여 파일이나 프린터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주는 프로그램입니다. 삼바를 설치하기 위해서 터미널을 열고 아래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sudo apt-get install samba -y
삼바가 설치되면 설정을 위해서 아래 명령어를 터미널에 입력합니다.
sudo vi /etc/samba/smb.conf
명령어를 입력하면 파일이 열립니다. 맨 아래줄에 다음 내용을 입력합니다.
[kimdukyu]
comment = kimdukyu ubuntu server
path=/home/kimdukyu
browsable =yes
create mask = 0660
directory mask = 0771
writable = yes
guest ok = yes
제 영문 이름으로 입력된 부분은 자신의 이름이나 구분할 수 있는 이름으로 설정하셔도 됩니다. 이제 삼바 접속 계정을 설정하기 위해서 아래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sudo smbpasswd -a kimdukyu
역시 제 영문 이름으로 입력된 부분은 접속할 계정 명을 입력해 주시면 됩니다. 기본적으로 우분투 계정 명을 입력해 주시면 됩니다. 명령어를 입력하면 아래 그림과 같이 패스워드 입력 문구가 나옵니다.
패스워드를 설정하고 삼바를 재 시작시켜 주면 됩니다.
sudo service smbd restart
Windows에서 우분투 접속을 위해서 "Windows 키 + R키"를 입력합니다.
그림과 같이 \\를 입력하고 우분투 아이피를 입력해 주시면 됩니다.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로그인 화면이 나옵니다.
우분에서 만든 계정과 패스워드를 입력하시면 접속할 수 있습니다.
만약 Windows 10 환경에서 삼바 접속이 되지 않으시면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삼바 설정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2023.10.05 - [유틸리티/윈도우] - 【Win10】 SAMBA 설정
【Win10】 SAMBA 설정
우분투 환경과 Window 간에 삼바로 네트워크 연결을 하려 할 때, Windows 10에서 SAMBA가 연결이 안 될 때가 있습니다. 이때 Windows 10의 환경을 설정해줘야 합니다. 먼저 "Windows Key + S" 키를 눌러서 제어
itlearningcenter.tistory.com
'플랫폼 > 우분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04 LTS】 우분투 설치 후 개발 관련 패키지 설치 (0) | 2023.10.13 |
---|---|
【20.04 LTS】 한/영키 설정 (0) | 2023.10.11 |
【20.04 LTS】 Wine 설치 및 구성 (4) | 2023.10.06 |
【20.04 LTS】 노트북 전원 관리 도구 설치 (0) | 2023.10.06 |
【20.04 LTS】 SSH 설치 (0) | 2023.10.06 |
이 글을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