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VN】 우분투 서버에서 SVN Web 접속 설정하기
- 유틸리티/형상 관리
- 2023. 10. 11. 21:25
SVN 저장소를 Web 브라우저를 통해서 접속하는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하겠습니다. 웹으로 접속하기 위해서는 SVN 서버 설정이 필요합니다. 앞서 SVN 설치 및 저장소 설정이 되어 있지 않다면 아래의 글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023.10.11 - [유틸리티/형상 관리] - 【SVN】 우분투 서버에 SVN 설치 및 저장소 설정
【SVN】 우분투 서버에 SVN 설치 및 저장소 설정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데 있어서 많은 자료들이 발생합니다. 여기서 자료란 어떤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소스 코드가 될 수도 있고 문서가 될 수도 있습니다. 프로젝트에서 발생되는 자료들의 변
itlearningcenter.tistory.com
먼저 웹 접속을 허용하려면 우분투에 아파치를 설치해야 합니다 아파치 설치를 위해서 다음 명령어를 터미널에 입력합니다.
sudo apt install apache2 libapache2-mod-svn -y
웹으로 접속할 때 접속할 ID와 패스워드 파일을 만들기 위해서 htpasswd 명령어로 등록해야 합니다. 명령어 사용을 위해서 아파치 유틸리티를 설치해야 합니다. 아래 명령어를 터미널에 입력합니다.
sudo apt install apache2-utils -y
SVN 저장소의 파일 소유권 및 권한을 아파치에게 주기 위해서 다음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sudo chown -R www-data:www-data /home/kimdukyu/server/svn/project1
뒤의 SVN 경로는 여러분이 설정하신 SVN 저장소의 경로로 하시면 됩니다. 저의 SVN 저장소의 경로는 "/home/kimdukyu/server/svn/project1"이기 때문에 이 부분은 꼭 여러분의 저장소 경로로 하시기 바랍니다. 이제 웹으로 접속할 계정을 만들기 위해서 아래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sudo htpasswd -c /home/kimdukyu/server/svn/project1/conf/webpasswd kimdukyu
위의 명령어에서 "svnpasswd"는 패스워드 파일명입니다. SVN 저장소가 있는 경로에 만드시기 바랍니다. "kimdukyu"는 사용자 계정 명입니다. 그리고 처음 사용자 계정을 등록할 경우 옵션은 "-c" 옵션을 주지만, 다음 사용자 계정을 등록할 경우에는 "-m" 옵션을 주어 설정하시면 됩니다.
이제 아파치를 설정합니다. 아래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sudo vi /etc/apache2/mods-enabled/subversion.conf
subversion.conf 파일이 열립니다. 아래의 내용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Location /home/kimdukyu/server/svn/project1>
DAV svn
SVNPath /home/kimdukyu/server/svn/project1
AuthType Basic
AuthName "subversion"
AuthUserFile /home/kimdukyu/server/svn/project1/conf/webpasswd
# 등록된 사용자만 읽기 가능.
<Limit GET PROPFIND OPTIONS REPORT>
Require valid-user
</Limit>
# 등록된 사용자 중 특정 사용자만 쓰기 가능
<LimitExcept GET PROPFIND OPTIONS REPORT>
Require user manager
</LimitExcept>
</Location>
파일을 저장합니다. 이제 아파치가 시작될 때 SVN 경로 정보를 읽어 올 수 있도록 설정합니다. 아래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cd /etc/apache2/mods-enabled/
sudo mv subversion.conf ../mods-available/
sudo ln -s ../mods-available/subversion.conf subversion.conf
위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설정을 합니다. 마지막으로 아파치를 재 시작합니다. 다음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sudo /etc/init.d/apache2 restart
웹 접속을 위한 아파치 설정이 끝났습니다. 이제 웹으로 접속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웹 브라우저를 열고 "자신의 서버 아이피주소/SVN 경로"를 입력하면 됩니다.
그림과 같이 계정 입력 화면이 나타납니다. 위에서 등록한 계정을 입력하면 됩니다.
다음과 같이 접속된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저는 아무 자료도 커밋해 놓지 않았기 때문에 자료들이 보이지 않습니다. 커밋된 자료가 있다면 브라우저 화면에 나타납니다.
'유틸리티 > 형상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SVN】 RabbitVCS와 SVN 클라이언트 설치 (0) | 2023.10.11 |
---|---|
【SVN】 우분투 서버에서 SVN 자동 실행 서비스 등록 (0) | 2023.10.11 |
【SVN】 우분투 서버에 SVN 설치 및 저장소 설정 (1) | 2023.10.11 |
【SVN】 TortoiseSVN update to revision (0) | 2023.10.11 |
【SVN】 TortoiseSVN clean up error (0) | 2023.10.11 |
이 글을 공유하기